검색문화재 설명보기
종 목 |
국가무형문화재 제11호 |
명 칭 |
국가무형문화재 제11호 |
분 류 |
무형유산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
수량/면적 |
|
지정(등록)일 |
1966.06.29 |
|
|
|
|
|
|
|
2014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

상모놀이

채굿
설명
농악(農樂)은 농부들이 두레를 짜서 서로 도우며 일할 때 연주하는 음악으로 ,
넓은 의미로는 꽹과리, 징, 장구, 북과 같은 악기를 치며 행진, 의식, 노동,
판놀음 등을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굿, 매구, 풍장, 금고(金鼓), 취군 등으로도 불린다.
상고시대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 남녀가 노래하고,
춤추었다는 기록이 있어 농악의 기원을 흔히 여기에 두고 있으며,
여러 과정을 거쳐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농악을 공연하는 목적·계기·방법에 따라 당산굿, 마당밟기, 걸립굿, 두레굿, 판굿으로 나누며,
그 밖에도 기우제굿, 배굿 등이 있다.
농악에 쓰이는 악기로는 꽹과리, 징, 장구, 북, 소고, 호적, 나발이 있으며,
주된 악기가 꽹과리이므로 농악장단을 흔히 꽹과리가락으로 나타낸다.
농악은 지역마다 특징이 있어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지역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면 대개 경기농악·영동농악·호남우도농악·호남좌도농악·경남농악·경북농악으로 나눈다.
이들 중 진주삼천포농악·강릉농악·이리농악·평택농악·임실필봉농악 등 다섯 지방의 농악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농악은 상고시대의 농경의례의 악(樂)으로 발달하여 마을 단위의 군대조련(軍隊調練)의 방편으로 연주되기도 했으며,
은산별신굿의 신목봉영절차(神木奉迎節次)에 그 잔영이 남아 있다.
오늘날에는 농민의 오락으로 변하여 악사들이 꽹과리, 징, 장구, 북, 소고와 같은 타악기를 치며
의식, 행진, 등놀이, 춤, 노작(勞作) 등을 연행하는 음악을 가리킨다.
본래 농악은 굿, 풍장, 매구 따위로 불리었다.
농악에는 그 기능에 따라 당굿, 마당밟이(답정굿(踏庭굿)), 걸립굿, 두레굿, 판굿 따위로 갈라지며
또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경기농악, 호남농악, 영남농악, 영동농악으로 나누어지는데
중요무형문화재 제11호 농악으로 지정된 것은 경기농악의 평택, 호남농악의 이리임실,
영동농악의 강릉, 영남농악의 진주삼천포 등에 전승되는 판굿이다.
상고시대 제천의식에서 남녀가 가무(歌舞)를 행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농악의 기원을 흔히 여기에 두고 있다.
농악은 이런 제천의식과 같은 마을굿에서 발생하여 여러 과정을 거쳐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동제(洞祭)에는 흔히 굿패들이 서낭대를 모시고 풍장을 치며 서낭당에 가서 서낭을 받아모시고 다시 풍장을 치며
마을 구석구석을 돌며 집돌이를 하고 굿청에서 굿을 하는데 집돌이할 때 마을 사람들이 서낭대에 돈과 쌀을 달아준다.
무당이 없이 굿패들이 마을굿을 하게 되어 당굿농악이 발생한 것으로 여겨지며
정초에 액을 막고 복을 빌기 위하여 당굿과 같이 농악을 치는 데서 마당밟이농악(踏庭굿, 地神밟기)이 발생하였다.
당굿농악이나 마당밟이농악을 칠 때 돈과 쌀이 걷는다.
마을의 공금을 각출하기 위하여 마을을 돌며 마당밟이와 같이 농악을 치는 데서 걸립농악(乞粒農樂)이 발생했고,
두레패들이 김매기할 때 풍년을 빌고 두레의 일이 잘 되도록 당굿과 같이 농악을 치는 데서 두레굿이 생겼다고 본다.
당굿에서도 서낭당에서 판놀음을 벌이고 집돌이에서 마당굿으로 판놀음을 벌이는데,
걸립패들이 따로 마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크게 판놀음을 벌이는 데서 판굿이 발생했다.
판굿에서 농악의 기예가 발전함에 따라 저자를 돌며 판굿을 벌인 데서
남사당패농악이나 짠지패농악과 같은 것들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