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군 창설과 발전의 중심인물이면서 해인사 폭격명령을 거부해서 해인시와 고려대장경을 구해낸 김영환 장군의 명패. 이 명패는 해안사 폭격명령을 거부했을 당시의 명패이다.|문화재청 제공
‘빨간 마후라는 하늘의 사나이…’. 6·25전쟁 당시 공군 초대 10전투비행전대장이던 김영환 장군(1920~1957)은 공군의 상징인 ‘빨간 마후라’로 알려진 인물이다. 김영환 장군은 제1차 세계대전 때 붉은 색으로 도색한 전투기를 타고 80여 대의 연합군 항공기를 격추한 독일 공군의 에이스 만프레도 폰 리히토벤을 흠모했다. 그러던 김영환 장군이 형수가 만들어준 자주색 마후라를 두르고 다니면서 ‘빨간 마후라’가 일약 한국 공군에서 유명해졌다.
여기에 1964년 전투조종사를 소재로 한 ‘빨간 마후라’ 영화가 상영됨으로서 영화주제곡이 큰 호응을 얻었다. 이때부터 빨간 마후라가 공군조종사를 지칭하는 상징이 됐다. 비행교육과정을 수료한 조종사들에게 조종 흉장과 함께 참모총장이 직접 빨간마후라를 수여하는 전통이 이어졌다.

공군 제10전투비행단의 주요활동을 연원일 사건제목, 출동, 비행훈련 등을 요약한 군사자료.|문화재청 제공
그런데 김영환 장군에게 ‘빨간 마후라’를 능가하는 전설같은 이야기가 더 있다. 바로 해인사 폭격작전을 거부함으로써 해인사 장경판전과 고려대장경을 지켜낸 것이다. 문화재청이 엮은 <수난의 문화재-이를 지켜낸 인물 이야기>(2009년 개정판)에 따르면 1951년 9월18일 낙오된 북한군 900여 명이 해인사로 몰려들었다.
이때 당시 제10전투비행전대장인 김영환 대령은 ‘해인사를 폭격하라’는 명을 받는다. 김영환을 편대장으로 한 제10전투비행전대의 폭격기 4대는 기관총 뿐 아니라 폭탄과 로켓탄을 장착하고 있었다. 특히 김영환 대령의 폭격기에는 ‘네이팜탄’도 적재돼 있었다. 해인사에 폭탄을 투하하고 기관총을 발사해서 북한군을 쓸어버릴 작전이었다.

6·25 전쟁 당시 임상섭 조종사가 작성한 비행기록 수첩과 지도. 전투기를 비행한 날짜와 기종, 횟수, 출격지점 등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문화재청 제공
그러나 김영환 대령은 “내 명령 없이는 절대 폭탄과 로켓탄을 사용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폭력을 인도한 정찰기가 “편대장은 무엇하는가. 빨리 폭탄을 투하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나 김영환 대령은 사찰 상공을 몇차례 선회한 다음 해인사 뒷산 너머로 폭탄과 로켓탄을 투하하고 귀대했다.
김영환 대령은 귀대후 “국가보다도 사찰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냐”는 추궁을 받았지만 “사찰이 국가보다는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공비보다는 더 중요하다”고 분명히 대답했다.
문화재청의 <수난의 문화재> 개정판은 “김영환 대령은 사찰을 파괴하는 데는 하루면 족하지만 해인사 같은 사찰을 세우는 데는 천년의 세월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고 마무리지었다. 해인사 입구에는 2002년 김영환의 공적을 기리는 ‘김영환 장군 팔만대장경 수호 공적비’가 건립됐다. 김영환 장군은 1954년 3월 5일 F-51(무스탱)기로 사천기지를 이륙하여 강릉기지로 향하던 중 기상악화로 동해안 묵호상공에서 실종됐다. 김 장군은 실종 3년 후 정식으로 사망처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