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역사와 문화재를 사랑해 주시는 여러분! 모두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언제 더웠을까 싶을 정도로 선선한 바람이 기분좋게 살랑거리는 10월 입니다. 이번 여름은 유난히도 비가 많이 왔었던 것 같습니다. 때문에 높고 청명한 가을 하늘이 더욱 눈부신 것일까요? 좋은 날이 계속되는 요즘, 주말이면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진 않으신가요? 그렇다면 이제 고민은 그만! 친구와 함께 가족들과 함께 혹은 애인과 함께 데이트하기에도 좋은 멋진 곳! 바로 경기도 수원입니다.
수원하면 경기도청 소재지이면서 인구 100만이 넘는 대도시로 수도 서울과도 밀접하여 교통이 편리하며 먹거리로 '수원갈비'가 굉장히 유명하고, 또 월드컵 개최도시 중 하나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수원'하면 바로 이것! '화성(華城)'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는데요. 수원화성은 사적 제3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 팔달문(보물 제402호), 화서문(보물 제403호), 장안문, 공심돈 등이 있습니다. 또한, 수원화성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세계적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화성은 조선 22대 정조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해 쌓은 성곽으로, 정조대왕이 양주 배봉산에 있던 사도세자의 능을 수원 화산으로 옮기면서 당시 화산 아래에 있던 관청과 민가를 팔달산 아래로 모두 이전시키고 이곳에 화성 행궁과 함께 화성을 축성하였습니다.

▶ 수원 화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 ⓒ화성사업소
수원 화성은 정약용의 거중기를 이용하는 등 첨단 과학을 이용하여 축성하는 한편, 성벽 안쪽은 자연 그대로 두면서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선조들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건축물 입니다. 수원 화성이 일제시대와 6.25전쟁이라는 고난의 역사를 지나 다시 원형 그대로 복원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화성성역의궤]라는 책으로 축성계획, 제도, 법식, 인력의 인적사항, 재료의 출처 및 용도, 예산 및 임금계산, 시공, 재료가공법, 공사일지등을 상세히 기록하여 후대에 그 지혜를 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파괴된 '장안문'의 모습

▶ [화성성역의궤]속 '장안문'. 의궤를 통해 원형을 그대로 복원할 수 있었다

▶ 복원된 '장안문'의 모습
화성의 북문인 장안문은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가장 큰 성문입니다. 중국 당나라의 수도였던 '장안'에서 그 이름을 빌려 '장안문'이라 이름 붙여진 이 문은, 조선을 과거 중국의 당나라와 같이 강대국으로 만들고자 했던 정조대왕의 마음이 고스란히 묻어나오는 곳입니다. 화성에는 장안문 뿐만 아니라 남문인 팔달문, 동문인 창룡문, 서문인 화서문을 포함 화성에서 아름답기로 유명한 화홍문과 방화수류정,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연을 열었던 화성행궁까지 볼거리와 즐길거리로 넘쳐납니다.

▶ 눈부신 가을 하늘과 화성 성벽의 모습 ⓒ 네이버 포토 갤러리
한 가지 팁(tip)을 더 드린다면 매년 10월 초가 되면, 수원의 대표적인 축제 '수원화성문화제'가 열립니다. 축제기간에 맞춰 오신다면 즐거움과 기쁨이 2배, 아니 10배는 더 커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 수원화성문화제 행사중 정조대왕 능행차 시연모습 ⓒ 네이버 포토 갤러리
수원화성문화제에 오시면 정조대왕능행차 시연모습, 시민퍼레이드, 혜경궁 홍씨 진찬연등 다양한 역사, 문화적 볼거리와 다양한 먹거리의 즐거움까지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 입니다.
혹, 화성을 둘러보시고도 시간이 더 허락된다면 수원 근처, 화성시에 위치한 용주사와 융건릉도 함께 돌아보셨으면 합니다. 용주사에는 국보 제120호로 지정된 용주사 범종과 정조가 직접 지시하여 제작한 <불설부모은중경판>이 있습니다. 또한 사적 제206호로 지정된 융건릉은 장조(사도세자)와 그의 비 헌경왕후(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과 그의 아들 정조와 효의왕후를 합장한 건릉을 합쳐 부르는 이름입니다. 수원 화성과 융건릉, 용주사까지 모두 둘러본다면 조선의 개혁을 꿈꾸었던 '정조대왕'을 테마로 깊이 있는 여행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고 다양한 먹거리로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곳!
10월에 아름다운 수원으로! 화성(華城)으로! 놀러오세요 ^^
▲제3기 문화재청 대학생 블로그기자단 이정아 기자
출처:문화재청 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