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제 목 |
 |
강원도, ‘삼척 준경묘⋅영경묘’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
|
글쓴이 |
 |
tntv |
등록일 |
 |
[2012.04.27] |
|
|
강원도, ‘삼척 준경묘⋅영경묘’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춘천=뉴스와이어) 2012년 04월 26일 -- 강원도는 조선왕조의 제일 오래된 선대묘인 강원도 기념물 제43호(1981.08.05 지정) ‘삼척 준경묘⋅영경묘’가 지난 4월 18일에 개최된 문화재청 사적분과위원회(위원장 노중국 계명대 교수) 심의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이 결정되어, 앞으로 30일동안 지정예고 절차를 거친후 사적으로 지정된다고 밝혔다.
이번에 사적 지정이 결정된 조선 태조 이성계의 5대조 이양무 장군의 묘인 준경묘와 이양무 장군의 부인 평창이씨의 묘인 영경묘는 조선왕조 최고의 선대묘로, 태조 이성계가 조선 건국후 어명을 내려 선대의 묘를 찾았을때 삼척 미로면 노동⋅동산지역 위치설, 태백산 황지 부근 위치설, 삼척 위천 부근 위치설 등 여러 지역이 거론되었으나 의견이 분분하여 조선시대 내내 결정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이후 고종임금때인 광무 3년(1899) 4월 16일 국가적 차원에서 삼척 미로면 소재의 묘를 선대의 묘로 인정하여 수축⋅정비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삼척시 미로면 활기리의 준경묘는 삼척시내에서 태백방향으로 연결되는 38번 국도변 인근의 활기리 마을에서 산길을 2㎞정도 올라가면 울창한 황장목 송림으로 둘러싸인 곳에 위치하고 있다. 묘역 내에는 봉분, 제각, 비각 등이 있고 수라방과 수복방 등의 주초석이 남아있다. 준경묘 주변의 황장목 숲은 숲 보호 시민단체인 “생명의 숲”이 ‘2005년 가장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할 정도로 보존이 잘되어 있으며, 2008년에는 준경묘의 황장목 20본이 한국을 대표하는 상징목으로 벌채되어 국보 제1호인 숭례문과 경복궁 복원목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삼척시 미로면 하사전리에 소재하고 있는 영경묘는 준경묘의 북쪽으로 약 4㎞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영경묘는 태조 이성계의 5대 조모이자 목조의 어머니인 평창이씨의 묘이다. 영경묘 주변은 황장목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묘역과 제향공간은 따로 떨어져 있으며 준경묘와 같이 묘역내에는 봉분, 제각, 비각 등이 있고 수라방과 수복방의 주초석이 남아있다.
이외에도 준경묘⋅영경묘의 제례음식 준비와 우천시 제례행사를 위한 공간인 재실이 준경묘 입구에서 약 1.5㎞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재실에서 약 1.5㎞정도 떨어진 곳에 태조 이성계의 4대조인 목조가 생활했던 곳인 ‘목조대왕 구거유지’가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는 목조가 생활했던 터임을 알리는 고종임금의 친필 비각이 세워져 있다.
준경묘⋅영경묘는 조선왕조의 제일 오래된 조선왕실 능묘로, 실제 재위했던 왕은 아니더라도 조선의 태동을 잉태한 역사의 현장이었다는 점과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5대조라는 사실을 비롯하여 그의 가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입증자료라는 점에서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또한, 목조(이안사)가 부친인 이양무의 묘를 조성하는 과정이 담겨있는 백우금관(白牛金棺) 전설을 비롯하여 풍수지리적으로 준경묘 앞을 일자(一字)로 가로 지르는 봉우리가 다섯 개가 있어 조선왕조가 500여년간 존속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하며, 준경묘 앞의 봉우리가 좌측보다 우측이 높아 왕위는 적장자보다는 차자, 방계가 계승한 경우가 많았다는 등의 이야기가 민간에 전해져 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이번에 사적으로 지정되는 삼척 준경묘⋅영경묘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조선왕실의 선대묘로 주변의 울창한 황장목 숲과 연계, 탐방코스를 개발하는 등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화하여 가꾸어 나가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2009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과 연계하여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하였다.
앞으로 강원도에서는 도내에 산재해 있는 유⋅무형의 문화유산들의 문화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역사적⋅예술적⋅학술적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여 국가지정문화재로의 지정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이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강원도청
|
|
|
|
|
|
|
|
|
|